[CNT] 지폐계수기의 정전기를 방지하다

은행에 가면 지폐를 세는 기계를 볼 수 있는데요. 지폐계수기라 불리는 이 기계는 사람이 직접 세는 것보다 빠르고 정확해 지폐와 유사한 상품권 등을 취급하는 곳에서 많이 사용되죠.


지폐계수기는 지폐를 투입하는 투입구, 계수를 조작하는 조작부, 그리고 계수된 지폐가 나오는 배출구 구조로 되어 있죠. 배출구를 보면 2개의 날개가 빠르게 회전하며 지폐를 낱장으로 분리해 주는데요. 이 때 정전기가 발생하면 지폐가 여러 장 겹쳐지는 등의 문제로 계수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죠.


이런 이유로 정전기 방지를 위해  탄소나노튜브 (CNT, Carbon Nanotube)’가 사용되는데요. 소량의 탄소나노튜브를 원재료에 복합화하는 것만으로도 정전기 방지 특성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죠.


탄소나노튜브(CNT)나노미터(nm)의 직경을 가진 튜브 형상의 탄소 동소체로, 다른 소재들과 복합화하여 많이 사용됩니다. CNT를 복합화하면 열/전기 전도성 등의 특성을 가진 복합소재로 만들 수 있어 정전기 방지 및 전자기파 차단이 필요한 전기전도성 소재, 자동차 정전도장용 플라스틱, 리튬이온전지의 도전재에 많이 사용됩니다.

 

* 복합 : 금속, 세라믹, 화학 소재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소재들이 필요에 따라 결합된 형태


 

 

 

  1. 지폐계수기
  2. 탄소나노튜브
  3. cnt
  4. 정전도장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