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성과 데이터
ESG 중점 지표 개요
LG화학은 2019년 지속가능성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고 9대 핵심 영역을 선정했으며, 핵심 영역 중 5대 최우선 과제를 중심으로 2020년 ‘탄소 중립 성장’을 포함한 중장기 목표를 대내외에 선언했습니다. 2021년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더욱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제안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개념에 기반하여 환경 · 사회 · 거버넌스 및 성장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중점 지표를 선정했습니다. 더불어 매해 변화하는 글로벌 메가 트렌드와 이해관계자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석유화학 · 첨단소재 · 생명과학 산업별 위험 요소 및 기회 요인과 단 · 중장기 사업 영향도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주요 이해관계자 관심도 분석
LG화학은 경영활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이해관계자를 고객, 구성원, 주주/투자자, 협력회사, 지역사회, 정부로 정의하고, 매년 이해관계자별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다양한 소통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확인된 이해관계자의 의견에 대해서는 경영진과 이사회에 공유하고 중점 추진 및 개선 영역으로 도출하는 등 경영 활동과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추진 활동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실시합니다. LG화학은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지속가능성 성과를 개선해 이해관계자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고자 합니다.
중대성 평가 프로세스
2023년부터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보고 내용을 결정하고, 지속가능경영 측면에서 향후 중점적인 관리가 필요한 이슈를 식별 및 선정하기 위해 이중 중대성(Double Materiality) 개념을 적용해 중대성 평가를 실시했습니다. 중대성 평가를 하는데 기존의 방법론을 기반으로, LG화학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환경 · 사회 영향도’와 외부의 영향을 나타내는 ‘재무적 영향도’ 라는 중대성 매트릭스를 사용했습니다.
보고 범위 및 경계
2024년 기준 LG화학 본사 및 영업소를 비롯해 국내외 31개 생산 사업장과 R&D 캠퍼스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 및 팜한농 데이터는 제외하고 있습니다. 일부 재무 정보의 경우 K-IFRS의 연결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보고 범위가 상이한 경우 별도 표기했습니다.
ESG 중점 지표
-
High Impact
-
Medium Impact
-
Low Impact
각 메뉴를 클릭하면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Environmental
온실가스 배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 요소와 기회 요인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감축 목표를 설정하여, Scope 1, 2, 3 온실가스를 관리하고 감축하고자 합니다.
1) 2023년 국내 Scope 1 및 Scope 2 배출량은 환경부의 온실가스 명세서 검증 결과에 따라 일부 수정됨
2) 2024년 국내 Scope 1 및 Scope 2 배출량은 환경부 온실가스 명세서 '제출' 시점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위 수치는 온실가스 명세서 검증 결과에 따라 향후 수정될 수 있음.
3) 원 단위 배출량 =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 / (LG에너지솔루션, 공통 및 기타부문 제외 매출액)
4) 올해부터 Scope 2 온실가스 배출량을 Market-based / Location-based로 구분하여 공시함. 단, 글로벌 총 배출량은 Market-based Data 기준 합산함
Market-based Scope 2 배출량은 Location-based 배출량에서 REC와 녹색프리미엄 구매에 따른 배출량 감축을 차감하여 산출함
5) GHG Protocol의 Corporate Value Chain (Scope 3) Accounting and Reporting Standard(2011) 기준으로 일부 카테고리에 한하여 작성 되었으며,
카테고리 5,6,7,9,11,12,15는 2024년부터 기준을 새로 수립하여 산출함.
6) 2024년 카테고리 3-1 탄소배출량 증가는 주로 여수 2NCC 정상 가동에 따른 납사 구매량 증가에 기인함. (2023년 여수 2NCC 가동 중단)
LG화학의 Scope 3 탄소배출량 산정 개선
-
Scope 3 탄소배출량 관리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지속가능성 공시 및 이해관계자 요구 증대에 따라 Scope 3 탄소배출량 산정의 Global 기준 및 범위를 검토하여 LG화학의 산정 기준을 수립하였으며, 해당 기준에 따라 국내사업장의 11개 Category에 대한 배출량 산정함
GHG Protocol의 Corporate Value Chain (Scope 3) Accounting and Reporting Standard(2011) 기준으로, 신뢰도 높은 Database를 사용하여 Category 별 배출량을 산정함 (2022, 2023년 배출량 산정 결과는 지난해와 동일하며, 수정하지 않음)
-
LG화학은 향후 Scope 3 탄소배출량 산정 범위를 당사 해외 사업장까지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완전성을 제고하고자 함
- Category 1 - 석유화학, 첨단소재 주요 원재료(원재료, 제품, 반제품, 상품 등)의 매입 전표 기준 배출량
- Category 2 - 취득/대체한 자산 전표의 유형 자산(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기구, 비품) 기준 배출량
- Category 3 - 온실가스 명세서 상 외부 구매 연료 및 에너지 기준 배출량
- Category 4 - 사업장에서 구매한 원재료 등의 운송 관련 배출량(운송 중 창고 및 유통 센터 등에서 발생하는 배출량 제외)
- Category 5 -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하여 제3자가 소유한 시설에서 처리 및 처분에서 발생하는 배출량
- Category 6 - 임직원의 국내/외 출장 간 교통 및 숙박에 의하여 발생하는 배출량
- Category 7 - 임직원 통근 시 활용하는 운송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배출량(근로자 통근관련 통계 자료 활용)
- Category 9 - 사업장에서 해외 수출하는 제품의 운송 관련 배출량(운송 중 창고 및 유통 센터 등에서 발생하는 배출량 제외)
- Category 11 - 판매 제품 중 연료로 사용되어 대기 중으로 직접 배출되는 경우의 배출량
- Category 12 - 판매 제품의 수명 종료 단계에서의 폐기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량(폐기 시나리오에 대한 통계 자료 활용)
- Category 15 - 사업보고서 연결재무제표 내 기업 중 종속기업을 제외한 피투자사(관계, 공동기업)의 사업 활동으로 인한 배출량
에너지 사용
전사 제조 공정 효율 개선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적극적인 재생에너지 수급을 통해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1) 2022년 국내 에너지 사용량은 환경부의 검증 결과에 따라 일부 수정됨.
2) 2024년 국내 에너지 사용량(재생에너지 포함)은 환경부의 명세서 검증 결과에 따라 향후 수정될 수 있음.
3) 에너지 사용량에는 자가 발전 및 소비량은 제외되며, 자가 발전 및 소비량(태양광)은 별도 표기함.
4) 원 단위 사용량 = (글로벌 에너지 사용량) / (LG에너지솔루션, 공통 및 기타부문 제외 매출액)
5) 간접 에너지 사용량에는 재생에너지 사용량이 포함(차감)되어있지 않음.
6) 재생에너지 사용량은 REC(태양광, 풍력) 구매와 녹색프리미엄을 포함함.
2022년~2023년 재생에너지 사용량은 일부 사업 매각 및 산정 기준 변경(자가발전 및 소비용 태양광 제외)을 반영하여 수정됨
7) 2024년 기준 당사는 자가소비용 태양광 발전설비 총 4.8MW(국내 1.9MW, 해외 2.9MW) 보유중으로, 기존에는 설계용량 기준으로 재생에너지 사용량에 포함하여 공시함.
실제 재생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태양광 자가발전 및 소비량을 재생에너지 사용량 합계에서 제외하고 별도 표기함.
용수 취수, 사용 및 배출
물 부족 현상 심화로 물 관리의 중요성이 지속 증가함에 따라, 취수 단계부터 원료 처리, 냉각 공정 등 제조 단계, 적정 처리된 폐수의 배출 단계까지 사업장 수자원 활용 현황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물 스트레스(Water-Stress) 지역의 취수량과 사용량을 파악하고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1) 기타 취수원은 빗물 취수량·저장량 등을 포함함.
2) Water Stress 지역 : (국내) 익산, 마곡, (해외) 중국 천진, 우시
3) 용수 재이용률 산정 시 사내 용수 재이용량과 사외 재이용수 사용량 수치를 포함함.
1) 여수, 대산공장은 취수량의 100%를 상수도(공업용수 포함)를 통해 조달함.
수질오염물질 배출
제조 공정에서 사용된 물을 수생태계로 돌려보내기 위해 수질오염물질의 배출 원인 및 영향을 추적하고, 폐수 배출 시설에 대한 정기 점검을 실시하여 수생태계로 배출되는 오염 물질을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1) 국내 <물환경보전법>에 따라, 수질오염물질 중 유기물질 측정 지표가 순차적으로 COD에서 TOC로 전환되는 상황이 반영됨.
대기오염물질 배출
연료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 허용 기준을 엄격히 준수하고 배출 시설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대기 중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폐기물 배출 및 재활용
일반 폐기물과 지정 폐기물의 처리 현황(재활용, 열회수 소각, 소각, 매립 등)을 분류하여 관리하며, 소각 및 매립 폐기물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발생 폐기물의 재활용을 극대화할 방안을 지속 검토하고 있습니다.
1) 여수(화치), 김천, 청주(분리막), 광저우, 취저우, 톈진 사업장.
제품 책임 및 유해 화학물질 관리
화학물질의 사용, 보관, 운반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확인하고, 제품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 환경 영향 분석 및 개선점 파악을 위해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 연도별 판매 제품 수 기준 물질 함유 제품 수의 비율을 산출함.
2) 2023년 대비 REACH Annex 17 제한물질(41종), SVHCs 물질(45종), CMR 물질(10종)이 신규 추가됨에 따라, 최신 기준을 적용하여 2022~2023년 Data를 재산출함.
3) 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EU 내 화학물질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에 관련된 제도.
4) SVHC: Substances of Very High Concern; SVHC Candidate list 포함함.
5) CMR: Carcinogenic, Mutagenic and Reprotoxic chemicals; 발암성, 돌연변이성, 생식독성 물질.
6) 제품 유해성 관련 Risk 평가 비율: 판매 제품의 구성 물질 중 물질 등록이 면제/완료된 물질의 비율.
재사용 및 재활용 원료 사용
기계적 재활용(Mechanical Recycling) 및 화학적 재활용(Chemical Recycling)을 포함한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을 다각도로 개발하고 이에 기반한 제품 생산을 적극 확대하고자 합니다.
1) 재사용·재활용 소재: PCR (Post-Consumer Recycled) 또는 PIR (Post-Industrial Recycled) 제품을 포함하며,
투입 비율 계산 시 해당 연도 PCR 또는 PIR 소재 투입량(판매량 기준)을 해당 제품군 총 판매량으로 나누어 산출함.
2) 기존 PC 제품군의 재사용 · 재활용 소재 투입 비율 산정 시, 총 판매량에 PC 외 제품군이 산입되었음을 발견하여 오류를 정정함
Social
근로자 및 공정 안전보건
중장비, 유해 물질, 고온 및 고압 등의 작업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며, 임직원뿐 아니라 사내 하도급사까지 관리 범위를 확대하고 법적 기준보다 강화된 기준의 사고 예방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1) 2022년부터 실근로시간을 적용하여 재해율을 산정함.
2) Fatality Rate(치명률): 총 사망 사고 건수 X 200,000 / 총 근로시간.
3) TRIR(Total Recordable Incident Rate, 총 기록재해 빈도율): 총 기록 재해 건수 X 200,000 / 총 근로시간.
4) LTIR(Lost Time Incident Rate, 휴업재해 빈도율): 총 휴업재해 건수 X 200,000 / 총 근로시간.
5) 공정 안전사고는 상해, 화재, 유·누출, 손실 금액 등을 고려한 내부 종합 사고 지수 기준에 의거하여 산정함.
6) PSE(Process Safety Event, 공정 안전사고 건수).
7) PSER(Process Safety Event Rate, 공정 안전사고 빈도율): 공정 안전사고 건수 X 200,000 / 총 근로시간.
임직원 다양성, 공정성, 포용성
국내외 임직원의 성별 · 연령별 · 지역별 다양성 현황을 직책/직군별로 나누어 파악하고 있으며, 보수의 공정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젠더, 세대, 문화적 다양성을 넘어 인지적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 매 년 4분기 말 재직 인원 기준으로 산정함.
2) 경영진은 상무 직급 이상의 집행임원, 등기임원을 의미함
3) 매출 관련 부서는 생산, 영업 등 제품 및 서비스 제공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부서를 의미함.
4) 직책 보유자는 임원 제외 팀장 이상의 임직원을 의미함.
5) R&D 관련 부서는 연구개발, 기술 관련 부서를 의미함.
6) 남성 평균 보수 대비 여성 평균 보수 비율은 해당 직급 전체 여성의 보수 평균값을 전체 남성의 보수 평균값으로 나눈 값으로, 성별로 인한 차별은 없으며 근속년수 등의 요인이 차이에 기여함.
7) 관리직은 임원 제외 책임·과장급 이상 임직원을 의미함.
인재 확보, 육성, 및 업무 몰입도 증진
성별 · 연령 · 국적 · 인종 · 종교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재들을 능력과 역량에 기반하여 채용하고 있으며, 구성원의 글로벌 역량 강화 및 리더십 역량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2023년 인당 평균 교육 비용 오류를 정정함
노동 인권 리스크 평가 및 교육
<LG화학 글로벌 인권노동 방침>에 따라 사업장 내 인권 영향에 대한 자가 점검 및 현장 점검을 시행하고, 잠재적 · 실질적 인권 리스크와 영향을 줄이기 위해 인권 정책 제 · 개정, 업무 프로세스 개선, 교육 등을 시행하고자 합니다.
공급망 지속가능성 평가 및 관리
인권, 환경 · 안전 · 보건, 윤리경영 등 공급망의 위험 요소를 검토하고, 공급망 ESG 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협력회사와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1) 협력회사는 연간 구매 금액 1억 원 이상, PO 발행 횟수 3회 이상인 국내외 정기 거래 업체를 의미함.
2) 핵심 협력회사는 구매 금액 상위 90%에 해당하는 협력회사를 의미하며, 모든 규모의 기업을 포함함.
3) 고위험 협력회사는 중대 부적합 항목 발견으로 고위험군에 속하거나 자가 진단 결과 High Risk 등급에 해당하는 협력회사를 의미함.
4) 협력회사 교육·지원 기간(~2022년) 이후 2023년부터 부적함 점검 및 관리를 실시함에 따라 부적합 수가 증가함.
5) 2023년 Data가 ① 고위험군, ② 자가진단 결과 High Risk 등급의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로 과소 집계되었음이 확인되어 정정함
지역사회 기여 및 파트너십 확대
사업장 주위 환경 및 안전 관리를 철저히 하고, 지역사회에 고용 기회와 지역 발전을 제공하며,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Governance
독립성, 전문성, 다양성을 갖춘 이사회 구성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지배 구조를 갖추기 위해, 글로벌 수준의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고 이사회의 실질적 권한과 역할을 강화해 이사회 중심의 책임 경영 체제를 내재화하고자 합니다.
윤리, 반부패 및 공정한 사업 수행
부정 · 비리 및 부패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적발된 사례는 내부 징계 혹은 법적 절차를 통해 처리합니다. 또한 정도경영 및 공정거래 관련 교육을 통해 임직원 인식을 개선하고 사전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1) 정도경영, 윤리 규범 관련 내용 등을 포함함.
2) 하도급·대리점 담합, 컴플라이언스 관련 내용 등을 포함함.
사이버 보안 및 정보 보호
기업 운영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안전하게 수집, 이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전사 위기관리 대응 체계에 기반한 정보 보안 리스크 평가를 지속하고 있으며, 정보 보안 교육 및 인식 제고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 및 규제 대응
정책 지원 과제 및 사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규제와 관련된 개선 과제를 발굴하고, 대정부 건의를 추진하는 등 민관 협력 방안을 지속 모색하고 있습니다.
조세 전략
LG화학은 사업을 운영하는 각 국가의 조세법률 준수 및 납세자로서의 성실 납세 의무 이행이 주주가치 극대화와 더불어 국가재정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인지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아래의 조세정책을 준수하고, 조세리스크를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조세정책
LG화학은 다음의 조세와 관련한 원칙과 규정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국가의 관련법규에 따른 성실한 세무신고 및 납부의무 이행
과세당국과의 투명한 관계를 유지하며, 각 국의 과세당국이 요구하는 자료의 제출의무 성실히 이행
해외법인과의 국제적 거래에 대해 세법 및 OECD의 이전가격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합리적 이전가격 정책 수립하여 실행
디지털세 도입에 따른 국가별 실효세율 계산 및 납부주체 파악 등 효율적인 세무 관리체계 수립
조세회피를 목적으로 조세피난처로 소득을 이전하는 행위 금지
투명한 세금 정보 공개를 위해 매년 감사보고서 및 전자공시 시스템을 통해 외부에 공개
조세리스크 관리
LG화학은 다음의 조세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조세리스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사업과 관련된 중요한 의사결정 시, 외부 전문가 및 과세당국의 자문을 근거로 세무리스크 평가
세금의 종류 및 금액의 중요도에 따라 경영진에게 보고하며, 세금신고 및 납부 관련 책임과 업무를 명확히 규정
세법 관련 불확실성 등 조세리스크 발생시, 외부 전문가와 협업을 통해 리스크 해소
1) 법인세는 2024년도 연결 재무제표 법인세 기준으로 작성됨.
Growth
지속가능성 기술 · 제품 개발 및 생산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차별화된 사회적 · 환경적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Sustainable Solution 기준을 수립하여, 기후변화, 순환경제, 수자원, 제품 독성, 생물 다양성, 사회적 가치 등 여섯 가지 Sustainable Value를 기준으로 당사의 제품 혹은 기술의 지속가능성 기여도를 확인합니다. 이를 이해관계자 요구 수준과 비교하여 당사가 더욱 집중해야 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투자 확대를 통해 제품 지속가능성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1) 매출액은 2024년도 연결 재무제표 매출액 기준으로 작성됨.
2) LG에너지솔루션과 공통 및 기타 부문의 매출액을 단순 차감한 금액으로, 환경 성과의 집약도 산정 시 사용됨. 공통 및 기타 부문은 ㈜팜한농 매출액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세 내역은 연결감사보고서 주석 참고 바람.
3) 바이오 소재, 재활용, 탄소중립 분야 과제 비용을 포함함.
고객 Pain Point 개선 및 만족도 증진
고객 Pain Point 관리 체질화 및 고객 접점 활동 강화를 통해 모든 프로세스에 고객 중심적 사고를 최우선으로 하여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1) 전사 사업부 중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사업부의 비율을 의미함
2) 2024년도에는 고객만족도 조사가 실시되지 않았으며, 검토 후 2025년 하반기 재개 예정임